728x90
반응형

무한리 샐러드 

한국인의 소울푸드 쌀에

대하여 알아 봅니다.

 

 

벼가 쌀이 되고 밥이  때까지

88번의 손을 거친다는데

씨를 골라내고 못자리를 만들고 

벼를 심고 제초해주고

벼를 수확하고 쌀로 도정하는 

벼가 쌀로 완성이 되는 과정에서

사람의 손이 88 거친다는 것입니다.

벼는 농부의 발자국소리를 듣고서

자란다는 말이 있습니다.

쌀의 한자어를 살펴보면

쌀미() 뒤집어진 여덟 팔과 열십

그리고 여덟 팔로 이루어진 것을

알수가 있는데 팔자가  번이나

나와서 88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미자가 들어가는

한자어는   249개가 있습니다.

 화자가 들어간 한자도  284

500여개의 한자어가 쌀미와 벼화자의

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만큼 연관성이 많다는 것입니다.

 

아이를 낳은 산모에게는 쌀밥과 미역국

잔칫상에 올라오는 떡은 역시 쌀로

만든 우리의 음식입니다.

흥부와 놀부의 이야기에서도

흥부가 박을   금은보화보다

먼저 나온 것이 바로 쌀입니다.

우리의 일상 속에서 뿌리 깊이 자리를

하고 있습니다.

 

 

국내산의  품종은 무려  

300여종이 됩니다.

토종쌀은 일제강점기 이전에 조선시대에서

주로 키우던 지역별 품종의

쌀을 말하는데 최근 복원을 해서

선을 보이는 중이라 합니다.

다다조  수확량이 많아서 붙여진

이름으로 다다조의 밥은 토독토독

씹다 보면 수분이 퍼지면서 단맛이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쌀을 고르는 방법 중의 하나가 

생산지 생산자등 쌀의 이력에 대해서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미소에서 추천하는 쌀의 기준은

좋아하는 쌀밥의 유형에 따라서

차진밥이나 고두밥등

어떤 요리의 형태인지에 따라서

볶음밥인지 국밥인지에 따라서

취향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좋답니다.

영호진미는 영남과 호남에서 제일 

맛있는 쌀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찰기가 있으며 오메가 -3 함유하고 있답니다

구수한 향을 원한다면 삼광

아이들 이유식에는 하이아미

아미노산이 함유가 되어 있습니다.

식당에서도 현미 상태의 쌀을 구매해

백미로 직접 정미를 해서 밥을 하는

식당도 있는데

현미를 백미로 도정하는 공정에서

분리된 고운 속겨 미강

 

도정은 재현과 정미를 합친 말로서

 벼에서 현미를 만든 다음

이것을 다시 백미로 만드는 과정을 말합니다.

재현은 쌀겨만 벗겨 내어 현미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도정에 따른 분류를 하자면

현미  5분도미  7분도미 9분도미 백미

정미는 현미에서 백미까지의 과정입니다.

쌀의 영양분은 거의 대부분

쌀눈과 호분층에 함유가 되어 있습니다.

쌀눈과 호분층이 현미일때에는

영양분이 100%

백미로 깎아 냈을 경우에는 영양분이 6%

 

신선하고 맛있는 쌀을 고르는 방법

시중에 유통이 되는 쌀의 90% 혼합미라서

품종란에 혼합보다는 특정 명칭을 고르는 

생산연도를 확인

쌀생산년도가 최근일 것을 고를 

도정연월일을 확인

봄과 여름은 도정직후 2 이내

가을과 겨울은 도정직후 4 이내에

소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등급을 확인

등급의 표시는 멤쌀만 해당하는데

    보통  미검사(등외) 나누어집니다.

 한톨이 손상이 없는 쌀을 완전미라 합니다.

손상이 없는 완전미의 함유율라

높을 수록 우수한 쌀입니다.

완전미 90% 불완전미 10% 

 

 

집밥을 맛있게 먹기 위해서는

밥을 맛있게 지어야

 짓기의 기본은 

 씻고  불리고  짓기

첫물을 얼마나 빨리 버리느냐가 관건

쌀을 씻을 때에 손으로 휘휘 젓듯이 씻은 

재빨리 물을 버립니다.

좋은 품종의 쌀을 압력밥솥으로

지을 때에는 물에 불리는 과정이 생략가능합니다.

냄비밥 혹은 현미밥의 경우

쌀은 20 정도 불리면 충분합니다.

압력솥의 경우에는 밥의 물양을

조금 적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밥물을 맞추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

쌀과 물의 황금비율은 1:1

 맞추는 팁은 쌀을   

어떤 용기를 썼는지 확인하고

  밥은 주걱을 사용해서 

위아래를 저어주고 밥알 사이에

공기를 넣는 다고 생각

 젓지 않으면 윗부분의  때문에

눌려서 밥이 떡의 상태로 되어버립니다.

 

쌀로 만든 

오직 멥쌀과 , 소금으로만 

만드는 가래떡

쌀로 만든 곡물차

 

떡을 보관할 경우에 냉동실에

보관을 하면 되는데 대신에

주의를 해야  점은 밀폐용기나 밀폐비닐에

공기를 완전히  뒤에 냉동실에

보관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찹쌀떡의 경우에 꺼내서 

자연 해동하는 것이 좋고

멥쌀 떡의 경우는 냉동  

전분의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찜통에 찌거나 팬에 굽는 

전분을 한번  익혀주어야 합니다.

 

쌀로 만들  있는 것은 

전통주  막걸리

미수가루

쌀빵 쌀피자 쌀면

쌀음료등이 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chalyminami

블로그 이미지
방송과 관련된 예능, 드라마, 뉴스 그리고 여행에 대한 이야기를 즐겨 보는 블로그
chalyminami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