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18. 19:23 유용한 정보
24절기의 우수에 대하여 알아 봅니다.
2월 19일은 24절기상으로 우수입니다.
1년을 24개로 구분을 해 놓은 24절기
중에서 두 번째의 절기입니다.
입춘과 경칩사이에 있으며
입춘으로부터 15일 이후에
오는 절기인데
통상적으로 양력으로 2월 18일이나
2월 19일에 해당이 됩니다.
올 겨울은 그리 많이 춥지가 않은
날들이 많았는데 우수를 앞둔 날
눈도 내리고 날씨가 많이 추워졌습니다.
일기예보에 의하면 우수가 지나면
원래의 기온을 회복하여 봄으로 향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우수는 눈이 비가 되어 내리고
얼음이 녹아서 물이 된다는
것을 뜻하고 있습니다.
날씨가 많이 풀려서 봄기운이 돋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초목의
새싹이 날 때입니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에
보면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에
대하여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우수에 대하여는
당나라의 역사서인 구당서와
원나라의 수시력등에 우수에
관하여 기록을 하고 있습니다.
그 내용을 간단히 보면
수달이 물고기를 잡는 다는 것과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나뭇가지에 싹이 돋고 풀이 자라기
시작한다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옛말에도
우수 경칩이 되면 대동강 물도 풀린다 라고
하여 날씨가 많이 풀리는 것을
이야기 했습니다.
농사를 짓는 농부들은 논둑과
밭두렁을 태워서 숨어 있는
해충을 없애기도 했습니다.
예전에는 시골에서 논두렁을
태우는 모습을 많이 볼 수가 있었지만
요즘은 거의 볼 수가 없는
일이 되어 버렸습니다.
우수와 관련된 행사나
이 시기에 하는 일들이 설명이 된
농가월령가 정월령을
알아 봅니다.
농가월령가 정월령
정월은 맹춘이라 입춘 우수 절기로다
산중 간학에 빙설은 남았으나
평교 광양에 운물이 변하도다
어와 우리 성상 애민 중농 하오시니
간측하신 권농윤음 방곡에 반포하니
슬프다 농부들아 아무리 무지한들
네 몸 이해 고사하고 성의를 어길소냐
산전수답 상반하여 힘대로 하오리라
일년 흉풍은 측량하지 못하여도
인력이 극진하면 천재는 면하리니
제각각 근면하여 게을리 굴지마라
입춘과 우수에 대한 절기를 언급하고
있으며 농사를 권장하는 왕의 담화내용과
근면하게 일을 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일년지게 재춘하니 범사를 미리하여
봄에 만일 실시하면 종년 일이 낭패되네
농기를 다스리고 농우를 살펴 먹여
재거름 재워놓고 한편으로 실어내니
보리밭에 오줌치기 작년보다 힘써하라
늙은이 근력없어 힘든일은 못하여도
낮이면 이영엮고 밤이면 시끼꼬아
때맞게 집 이으면 큰 근심 덜리로다
살과나무 보굿 깍고 가지 사이 돌 끼우기
정조날 미명시에 시험조로 하여 보자
며느리 잊지 말고 소국주 밑하여라
삼촌 백화시에 화전일취 하여 보자
상원날 달을 보아 수한을 안다하니
노농의 징험이라 대강은 짐작하니
농사를 짓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농경사회이다 보니
농사를 짓는 것이 최우선인 것이
당연한 것입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인의 만성질환 손목터널증후군 - 2tv 생생정보 (0) | 2020.02.19 |
---|---|
청춘들의 축제 대학가요제 - 무한리필 샐러드 (0) | 2020.02.19 |
윤도현과 YB - 무한리필 샐러드 (0) | 2020.02.18 |
임백천의 뮤직살롱 - 번안 가요, 쎄시봉 (0) | 2020.02.18 |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 36회 인천밥상, 37회 인제 평창 밥상, 38회 광진구밥상음식점 정보 (0) | 2020.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