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1. 25. 19:34 유용한 정보
단백질의 보고 우유, 유청 단백질, 유청단백질 먹는 법 [기분좋은날]
안녕하세요
기분좋은날에서 우유단백질에 대하여 설명을 했는데
어떤 것인지 알아 봅니다.
단백질의 보고 우유
우유 속 단백질의 체내 흡수율은 약 90%라 합니다.
식물성 단백질의 대표주자는 콩인데
콩 속의 단백질 체내 흡수율은 50%입니다.
단백질의 흡수율이 낮으면 성분 대부분이 몸 밖으로
배출이 됩니다.
그래서 단백질을 섭취할 경우에는 체내 흡수율이 높은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유를 그냥 마시는 것도 좋지만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섭취하는 방법은 우유에서 추출한 유청 단백질입니다.
우유를 가열하면 생기는 하얀막에서 유당 지방을 떼고
남은 것이 유청단백이고 그 과정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유청단백만을 추출했기 때문에 순도가 굉장히 높아집니다.
우유 1리터를 가지고 유청 단백질을 추출해 내려면
우유 1리터당 1mL가 나옵니다.
즉 0.1%만 추출이 됩니다.
일반 단백질과 유청 단백질의 차이점은
유청 단백질은 동물성 단백질에 속하는데 이 속에는
9종의 필수 아미노산이 함유가 되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총 18종의 아미노산까지 포함이 되었습니다.
동물성 단백질 중에서도 함유량이 높은 편이고
흡수율도 매우 좋아서 근육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유청 단백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는데
성인 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일상식단과 유청단백질을
먹게 했는데 지방을 제외한 제지방량이 증가했다고 합니다.
제지방이란 체중에서 체지방량을 뺀 것입니다.
제지방량은 근육량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제지방량이 늘었다는 것은 근육량이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청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면 몸의 구성성분이
튼튼하게 개선이 됩니다.
또한 근육량의 증가에도 도움을 줍니다.
유청단백질이란
카세인을 제거한 단백질로서 우유 단백질의 약 20%를 차지하고
전 유청 단백질의 약 80%는 락토알부민과 락토글로불린으로
이들은 산에 의해서는 침전되지 않지만 열에 의해 응고 침전되기
때문에 우유의 열응고성 단백질이라고 불리기도 한답니다.
누구에게나 유청단백질이 좋은 것이 아니라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들은 복부팽만감과 가스, 위경련, 설사가 있을수
있답니다. 또한 우유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도 두드러기나
발진, 얼굴부종등이 생길수가 있어서 전문가와 상의를
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유청단백질 먹는 법
일반적인 복용량은 하루 25~50g입니다.
적절하게 섭취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품있는
설명서의 용량을 따라서 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깨 들기름 깻잎, 건강효능, 섭취법, 들깨뭇국, 들깨우유죽, 들깨미역국 만드는 법, 깻잎효능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0) | 2020.11.26 |
---|---|
장이 예민한 사람은 저포드맵, 포드맵이란, 천원의 아침밥 프로젝트 [생생정보마당] (0) | 2020.11.25 |
냉장고 청소하는 방법, 냉동실 정리 노하우, 냉장실 정리법 배워보기 [알토란] (1) | 2020.11.23 |
콜라겐, 어류 콜라겐 망고 살사소스 도미구이 만드는 법, 콜라겐이 중요한 이유 [TV정보쇼 알짜왕] (0) | 2020.11.23 |
시래기 영양성분, 좋은 시래기 고르는 법, 시래기 삶는 방법, 시래기 가루 활용법 [천기누설] (0) | 2020.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