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무한리필 샐러드 소울푸드

쌈에 대하여 알아 봅니다.

 

혼자일 때도 빛나지만 고기와 밥을

함께 싸먹으면 더욱 빛나는

한국인의 영원한 소울푸드

영혼까지 푸짐한 쌈요리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쌈문화

주먹밥이나 연잎밥 같은 경우가

쌈문화의 원형으로   있습니다.

고려시에 원나라에 많은 여성이

끌려가면서 원나라에 생활을  

텃밭에 상추를 심어서

상추쌈을 먹어면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달랬던  모습을 보고

몽골사람까지 쌈을 싸먹는 것을

좋아 했다는 기록이 있답니다.

조선시대에는 일상의 음식이자

명절마다 먹는 절식이기도 했던 쌈요리

예로 부터 쌈을 싼다는 것은 바로 복을 

싼다는 것을 의미

복을 싸서 크게 입안에 넣는 것을

복을 불러들인다는 뜻을 의미했습니다.

농경 사회에서는 농민들이 밥을 먹을 

첫술은 항상 쌈을 싸먹어라고 했답니다.

동국세시기에는 정월대보름에 나물 잎에

밥을 싸서 먹는데 이것을 복쌈이라고 한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바다에서 나는 해초류까지

쌈으로 즐긴 선조들입니다.

왕들은 쌈을 먹을  다양한

조림  장을 곁들여 먹었고

소고기를  썰어 간장 양념에

버무린  살짝 졸여낸 장똑똑이

병어를 고추장 양념에 졸인 병어조림

 

쌈의 요리 형태  하나인 보쌈

본래의 식재료 맛을 중시하고

숙성된 회의 감칠맛을 즐기는 일본

찰진 식감을 선호하며 신선한 맛을

좋아하는 한국의 쌈문화

1990 초에 미국 주도하에 자유무역의

분위기가 강조되면서 우루과이라운드가

협정이 체결되었습니다.

우루과이라운드는 관세  무역에 관한 

8 다자간 무역협상인데

1986 9 우루과이에서  회합이

열린 이래 1995년부터 발효가 되어

세계무역기구로 출범을 했습니다.

이로 인하여 외국농산물과 경쟁을

하다 보니 시설재배가 늘어나게 됩니다.

쌈채소와 같은 특수작물의 재배

부가가치가 높아졌습니다.

들과 산에서 캐던 나물류까지도 

특용작물에 포함시켜서

재배를 권장하기 시작했습니다.

다양한 채소들의 보급으로 인해서

이것을 소비할  잇는 쌈밥집이

생겨나게 된것입니다.

 

 

김으로  것이 슈퍼푸드라는데

 자체가 미네랄, 비타민, 섬유소가

많이 들었어서 그렇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수출이 되는 1

가공식품 중에서 김이 가장

많이 수출이 되었는데 라면이나

인삼보다도 수출이 많이 되었다

합니다.

 

라디치오

치커리의 일종으로서 쓴맛을 내고

비타민 A, C, E 엽산, 칼륨이 함유

당귀

대표적인 약용식물로서 은은한 향이 특징

특히 혈액 순환  여성에게 좋은

약초로 알려져 있습니다.

적쌈배추

기능성으로 개발된 붉은색 쌈배추로

새콤한 감칠맛이 특징입니다.

적치커리

붉은빛이 나는 치커리로 특유의

씁쓰름한 맛이 특징

청겨자

겨자 열매가 열리기 전에 나오는 

 쏘는 듯한 매운맛과 향기가 특징

 

채소를 조합하는 것에 따라서

쌈의 맛이 달라지는 매력이 있습니다.

로즈

케일 종류의 쌈채소로 은은한

단맛이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친환경채소는 

무농약과 유기농 채소를 두루 이르는 말입니다.

유기농채소는

농약과 화학비료를 3년간 치지 않은

땅에서 재배를  채소를 말합니다.

무농약 채소는

농약은 쓰지 않지만 화학비료를 권장량의

1/3 이내로 사용해서 재배한 채소를 말합니다.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유통과정에서 농약이나 중금속, 세균 같은

유해 물질이 잔류하지 않도록 위생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친환경 인증은 재배자입장에서 재배자가 무농약과

유기농 여부를 인증받는 제도이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소비자가 위생관리를 마친

안전한 채소를 확인하는 제도입니다.

 

눈으로 맛을 확인하는 방법

 끝이 뽀족한 채소는 쌉쌀한 쓴맛

 모양이 둥근 채소는 단맛 - 청경채, 배추 

향이 풍부한 당귀, 고수, 깻잎

 

세척 채소는

1단계로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2단계는 잔류 농약을 제거

3단계는 재세척

 

집에서 쌈채소를 씻을 때에는

씻기 전에 물에 5분간 담가 두었다가

흐르는 물에 헹구어 잔류농약을

없앨수 있습니다.

 

쌈채소 안의 울긋불긋한 색소는

피토케미컬이라 하는데

안토시아닌, 리코펜, 레스베라트롤등

이런 성분들이 몸에 들어오면

염증을 가라 앉히고 노화를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많다 합니다.

상추를 먹으면 잠이 오는 이유는

상추의 줄기를 꺽으면

끈적한 진액이 나오는데

락투신이란 성분으로서

진통과 마취작용을 하는 식물의

천연 성분입니다.

 

아이스 플랜트

다육식물의 일종으로서 잎과 줄기에 얼음

결정체처럼 생긴 물질이 붙어 있는  채소

살짝 짠맛이 납니다.

치콘(엔다이브)

치커리의 뿌리에서 새로 돋아난 싹인데

벨기에의 대표적 샐러드  쌈채소입니다.

맛은 치커리의 쌉싸래한 맛과 배추맛이

섞였다 보면 

버터헤드레터스

꽃송이 상추라고 불리며 둥글게 말리면서

자라는 것이 특징입니다.

맛이 고소합니다.

 

 요리의 종류

전복쌈 - 전복과 

포쌈 - 육포나 어포에 , 호두, 땅콩등을 싸서

말아 알맞은 크기로 썰어낸 쌈요리

곶감쌈 - 곶감을 손질해서 펼치고 호두를

얹어서 꼭꼭 눌러  쌈요리

밀쌈

어쌈 - 생선을 얇게 져며서 소를 말아서 먹거나

찜통에 쪄서 요리하는 쌈요리

어쌈 혹은 어선으로 불리던

우리나라 전통 쌈요리

닭고기와 보쌈이 합쳐진 닭보쌈

 

외국의 쌈요리

 

경장육사

곱게   돼지고기를 자장소소에 볶아서

각종 재료에  먹는 중국의 쌈요리입니다.

 

베트남의 월남쌈

 

터키의 되네르 케밥

고기를 숯불 화덕에 회전시키며 익혀서

피데(터키식 )  먹는 터키식 쌈요리

 

멕시코의 타코

옥수수로 만든 토르티야 위에 각종 고기와

다양한 채소를 넣어서  먹는 멕시코식 쌈요리

 

프랑스 크레페

얇게 반죽한 밀가루 빵에 잼이나 과일 외에

고기, 채소 등도 넣어 주식으로 먹는 프랑스식 쌈요리

 

다양한 쌈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chalyminami

블로그 이미지
방송과 관련된 예능, 드라마, 뉴스 그리고 여행에 대한 이야기를 즐겨 보는 블로그
chalyminami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